2024. 12. 5. 11:10ㆍ사회이슈
장 담그기, 세계를 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장 담그기는 단순한 음식 발효 기술이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전통 장 담그기 문화가 가족의 정체성과 공동체 정신을 상징하는 유산으로 인정받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장 담그기 문화’, 그 배경은?
2024년 12월 3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 간 위원회는 우리나라의 전통 장 담그기 문화를 “가족의 정체성과 공동체적 유대를 반영하는 문화”로 평가하며,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것이 아니라, 세대 간의 전통 계승과 자연 친화적 생활 방식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로써 한국은 종묘제례, 김장문화, 탈춤 등 총 23건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이는 전통 문화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하는 중요한 이정표라 할 수 있습니다.
1. 장 담그기 문화의 기원과 역사
(1)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발효 과학
장 담그기는 삼국시대부터 기록에 남아 있을 만큼 오랜 역사를 자랑합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콩을 발효시켜 만든 된장과 간장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이는 당시 장이 단순한 조미료를 넘어 생존과 생활의 중요한 자원임을 보여줍니다.
(2) 고려와 조선 시대의 발전
고려 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채식이 장려되며, 장류가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규합총서》와 같은 문헌에서 장 담그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기록되며, 체계적인 발효 기술이 확립되었습니다. 특히, 한옥의 장독대는 자연 환경과 발효 과학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전통적인 주거 문화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2. 장 담그기 문화의 과정과 철학
(1) 장 담그기 과정
장 담그기는 단순히 재료를 섞는 과정이 아닙니다.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를 거칩니다.
- 메주 만들기: 삶은 콩을 찧어 네모난 형태로 빚어 햇볕 아래서 말립니다. 발효를 돕는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생성됩니다.
- 소금물과 메주 숙성: 겨울철에 소금물에 메주를 넣고 항아리에 담습니다. 이때, 숙성 기간 동안 발효 미생물이 장의 깊은 풍미를 만들어냅니다.
- 분리와 완성: 몇 달이 지나면 된장과 간장이 분리됩니다. 장의 맛과 품질은 숙성 기간, 온도, 습도 등 자연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2) 철학과 가치
장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자연의 시간과 인간의 노력이 결합된 결과물입니다.
- 자연과의 조화: 자연 환경에 의존해 발효가 이루어지며, 이는 생태학적 조화를 상징합니다.
- 세대 간 전수: 어머니에서 딸로, 가족 간의 지혜와 사랑이 전수되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입니다.
3. 유네스코 등재의 의미
(1) 가족과 공동체의 상징
유네스코는 장 담그기 문화를 가족 구성원 간의 평화와 소속감을 조성하는 중요한 행위로 평가했습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소멸 위기에 처한 공동체 문화를 되살리는 데 중요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건강과 지속 가능성
장은 자연 발효를 통해 만들어져 건강에 유익한 프로바이오틱스와 항산화 성분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 친화적인 생산 방식은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s)와도 일치합니다.
(3) 글로벌 K-푸드의 확장
장 담그기 문화는 김치와 함께 한국 음식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상징합니다. 이번 등재를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K-푸드 열풍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장 담그기 문화의 보존과 발전
(1) 젊은 세대를 위한 교육
전통 장 담그기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젊은 세대가 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 예: 전통문화센터에서의 장 담그기 체험 교실
- 예: 발효 과학과 현대 영양학을 결합한 창의적인 프로그램
(2) 국제 홍보와 글로벌화
한국의 전통 장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홍보와 체험 이벤트를 강화해야 합니다.
- 해외에서 열린 "한국 발효음식 박람회" 사례
-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장 문화 전파
우리의 전통을 세계에 알리다
장 담그기 문화는 단순한 음식 제조법을 넘어 우리 민족의 삶과 철학, 공동체적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유네스코 등재는 이러한 전통을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문화적 자산으로서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이 소중한 유산을 지키고 발전시켜, 한국 고유의 전통이 전 세계에서 사랑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장 담그기의 깊은 맛과 이야기가 글로벌 무대에서도 빛날 날을 기대해봅니다.
한국에서 문화재가 가장 많은 도시 Top 10: 역사와 아름다움의 보물창고
[금융지식] 31. 공매도의 두 얼굴: 시장을 살리는가, 죽이는가?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인류를 지배할까? 핵심 개발자들의 공포 (3) | 2024.12.09 |
---|---|
빚더미에 앉은 대한민국, 과연 우리는 어떻게 헤쳐 나갈 수 있을까? (2) | 2024.12.06 |
뷔페 부활, 가성비 신화는 계속될까? (3) | 2024.12.05 |
정년 65세, 청년에게 기회가 될 수 있을까? (3) | 2024.12.05 |
1인 가구의 위기가 한국 경제를 흔든다! 소비 급감의 충격 (5) | 2024.12.04 |